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건강

하임리히법(유아, 성인, 혼자있을 때 하임리히법)

by totolooloo 2021. 5. 13.

이물질로 인해 기도가 막혔을 때, 이물질을 긴급하게 제거하는 하임리히법 실시방법과 주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질식 상태가 계속되면 호흡이 불가능하여, 뇌사상태 또는 사망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속한 응급조치가 필요합니다.

 

 

 

기도폐쇄 증상에 따른 실시

환자가 숨쉬기 힘들어 하거나 목을 감싸 괴로움을 호소할 경우 기도폐쇄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말을 할 수 있고 기침을 하려 한다면 부분 폐쇄이므로 기침을 할 수 있게 방해하지 말아야 합니다. 기침을 세게 해서 이물질이 나올 수 있다면 하임리히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점점 기침이 약해지고 말을 할 수 없다면 완전폐쇄로 진행되는 것이므로 하임리히법을 실시합니다. 

 

기도폐쇄 증상

  • 두 손으로 목부분을 쥐면서 기침을 하려고 한다.
  • 목부분에서 심한 천명음(‘쌕쌕’하는 소리)이 들릴 수 있다.
  • 얼굴이 파랗게(청색증) 변한다.

 

유아 하임리히법 (체중 10kg 이하, 1세 이하)

유아-하임리히법-그림
유아-하임리히법

 

  1. 주변에 119신고를 요청한다
  2. 유아의 머리를 아래 방향으로 향한 후 등 두드리기 5회를 실시
  3. 흉부압박법을 5회 반복 (아래 설명글 참고)
  4. 입안의 이물질 제거한다(손에 닿는 것만)
  5. 위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이물이 배출되거나, 힘차게 숨을 쉬거나, 기침을 할 때까지, 119가 도착할 때까지)
  6. 의식을 잃으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 흉부압박법 :

영아의 유두사이에 가상선을 긋고, 검지와 중지를 흉골에 올려놓고 (심폐소생술과 비슷하나 속도는 조금 천천히) 분명하고 확실하게 5회의 압박을 시행한다.(압박 시 손가락은 가슴에서 떼지 않는다.)

 

 

성인, 소아 하임리히법

소아-성인-하임리히법-그림
소아-성인-하임리히법

 

환자가 일어선 상태, 즉 환자의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합니다.

  • 말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침을 유도한다
  • 말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119에 신고한 후 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1. 환자의 등 뒤에서 양팔로 허리를 감싼다
  2. 구조자는 오른손으로 왼주먹을 감싸 잡고 명치 아래에 댄다
  3. 빠르게 위로(후상방향) 강하게 밀어 올린다
  4. 이물질이 나오거나 119구급대원이 올 때까지 계속한다
  5. 환자가 의식을 잃게 되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하임리히법 자세한 부가설명

 

  • 손을 올바로 위치시켜야 한다. 주로 쓰는 손으로 주먹을 쥔 후 배꼽 바로 위, 갈비뼈 아랫부분의 배 위에 놓자. 갈비뼈를 다치치 않으면서 이물질을 밀어내기 가장 적합한 위치인지 확인하자.
  • 한쪽 주먹을 엄지 쪽이 환자의 몸에 닿도록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에 놓은 다음, 힘을 더 강하게 주기 위해 다른  손을 펴서 배 위에 있는 주먹을 덮어준다. 
  • 횡격막 안쪽의 복부로 주먹을 밀어 넣어야 한다. 주먹을 마치 갈고리모양처럼 안쪽으로 누르고 위쪽으로 빠르게 올려준다.
  • 주먹으로 세게 밀어 올랄 때 주먹에만 힘을 가하고 팔에는 힘을 가하지 않아야 한다.
  • 환자의 상체는 똑바로 세우기보다 어느 정도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낫다. 그러나 너무 앞으로 숙이면 시술자가 힘을 주기 어렵다.
  • 최대의 강한 힘으로 한순간에 환자의 복부를 압박한다. 힘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시도가 실패했다면 즉시 힘을 빼서 느슨하게 한 다음(자세 자체는 계속 유지. 팔에 들어간 힘만 빼는 것) 일순간에 다시 힘을 준다. 
  • 환자가 아플 것 같다고 약하게 해서는 안 되며, 아파하더라도 강하게 밀어 올려야 한다. 약하게 해서 실패할 경우 반복해야 하는데, 횟수가 반복될수록 환자 신체 내부의 압력이 떨어져 이물질 배출이 더 어려워진다.

 

 

혼자 있을 때 하임리히법

혼자있을때-하임리히법

 

매우 아프고 무섭겠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경우 저산소증으로 사망하게 되므로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 기도가 막혔다면 혼자서 하임리히법을 실시해야만 합니다.

 

  1. 우선은 기침을 세게 해서 뱉어내도록 해본 후, 되지 않으면 하임리히법을 실행
  2. 일반적인 하임리히법처럼 주먹을 명치 아래에 대고 강하게 밀어 올린다
  3. 이 방법으로 되지 않을 경우 아래의 방법을 시도한다.

 

  • 방법1. 책상 모서리나 의자 등받이, 의자 모서리 등에 자신의 명치와 배꼽 사이를 대고 강하게 주저앉기
  • 방법2. 자신을 주먹을 하임리히법 하는 위치에 둔 뒤 앞으로 넘어지기(넘어질 때는 무릎을 꿇거나 하면 안 되고 막대기가 쓰러지듯 바로 쓰러져 주먹에 힘이 가해지게 해야 한다)

 

 

 

하임리히법 전체 주의사항

 

  • 임산부나 비만환자는 상복부가 아닌 흉부를 압박한다. 가슴 한가운데에 주먹을 대고 가슴을 뒤로 당기면서 압박한다. 
  • 환자가 스스로 기침을 하고 있다면 기도가 완전히 막히지 않은 것이다. 이때 도와주려고 등을 두들겨주면 오히려 기침하는데 방해가 된다. 제대로 된 하임리히법을 해도 될까 말까인데 등 두들겨주는 정도로는 소용이 없다.
  • 떡이나 젤리처럼 점성이 높은 음식이나 산낙지 같이 흡착력을 가지고 붙어버린 경우 하임리히법으로도 배출이 잘 안 되는 편이다.
  • 하임리히법은 복부에 강한 압력을 주어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을 빼내었다고 해도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복부 장기 손상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 기도폐쇄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는 절대 시행하지 않도록 한다.
  • 하임리히법 실시 중 환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